▣불면증과 한의학
▶뇌불안의 본질은 위험을 회피하는데 있다. 불안이 생각으 로, 생각이 망상으로 이어지는 것이다. 그 결과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환이 불면증이다.
▶보통 잠들기 힘든 증상(입면장애)만 아니라 잠들었다가 금 방 깨는 수면유지 장애, 아침 일찍 눈이 떠지는 조기각성 모두 불면증이다. 한의학에서는 일정하게 호흡하고 심장이 뛰고, 혈액이 흐르는 힘을 원기라 하고 있다. 이 원기가 부 족하면 수면유지도 힘들어지고 아침 일찍 눈이 떠진다. 너 무 피곤할 때 잠이 오지 않거나 원기가 떨어진 노인에게 이런 증상이 많은 이유이다.
▶한의학에서는 잠은 음기가 성할 때 잘온다. 음기가 줄면 잠 이 잘오지 않는다. 동의보감에서도 잠을 잘 자지 못하는 것 은 음기가 줄어들어 양기가 성한 것 이라고 적었다.
인간의 신체는 밤에 자고 낮에 활동을 하도록 되어 있는데, 현대 문명은 야간활동을 하도록 권하고 있다. 이 과정에서 신체균형, 바로 양기와 음기의 균형이 깨지면서 불면증이 생긴다. 스트레스도 불면증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. 자 율신경실조증이면 바로 불면증이다.
▶불면증에 좋은 먹거리:
①상추는 다음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채소이다. 속이 찬 사 람이 상추를 많이 먹으면 설사를 한다.
②고사리도 있다. 영조대왕 9년(1733년) 8월에 밥맛이 없 고 불면증으로 새벽에 자주깨는 왕을 위해 좌의정 서명 균이 권한 음식도 고사리였다.
③칡이 위장에서 차가운 물을 끌어 목뒤와 어깨의 뻣뻣함 이나 열감을 식혀준다. 숙취로 인한 갈증해소에 도움을 준다. 그래서 열이 올라 잠을 자지 못하는 불면증을 완화 하는데 칡이 도움이 된다.
④백자인(측백나무열매)도 수면에 도움을 준다.
⑤산조인도 있다. 대추나무의 한 종류인데, 씨앗이 크게 자 란 것이 대추이고, 작게 자라는 것이 산조인이다. 신맛이 있는 산조인은 간을 보하고, 불면해소에도 도움을 준다. 순조임금은 앉아 있기가 불편할 정도로 불안하고 초조하 여 불면증을 앓았다. 이런 순조에게 처방했던 약이 감초 (40g), 밀(540ml), 대추(7알)로 구성된 감맥대조탕이다. 대추는 진액을 보충하고 기를 강화해 다리쪽으로 내려가 게 해준다. 그래서 불안한 마음을 안정시켜 잠을 잘오게 한다.